사용자가 쾌적하면서도 티샷 및 퍼팅시 주간과 별 차이 없는 정교한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조도 설계 진행. 그린지역과 티잉 그라운드의 조도를 높여 설계 작업. 페어웨이 역시 전반적으로 밝은 느낌을 갖고 균제도가 높도록 조도 설계
조도는 경기 레벨에 따라 달라지며 경기를 쾌적하게 하려면 레벨에 맞는 조도가 필요.
경기 중에는 시선이 늘 움직이므로 조도 분포의 불균일이 크면 시대상물의 관점 저하가 피로의 원인이 되므로 균제도가 중요.
야구경기에서는 투구, 타구, 포구라는 일련의 동작 중에서 경기자의 시선이 모든 방향으로 향함. 그러니 볼의 움직임을 가장 정확히 포착할 필요가있는 경기자나 정위치에 있는 경기자가 조명을 시선에 가장 적게 닿도록 위치 선정
조도 설계시 유의점은 프로 기준 최고 200km/h 속도로 비교적 근거리에서 하는 스포츠. 따라서 조도가 불균일 시 볼이 실제보다 빠르게 느껴지거나 라인에 걸쳤을 시 판정에도 문제를 야기함. 따라서 조도와 균제도 모두 중요
경기장은 적절한 밝기로 고르게 밝혀야 하며, 조명은 선수와 심판들의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함.
유지보수 요인은 보통 광원, 투명도, 그리고 앞 유리의 노후와 훼손도에 따라 결정됨
조명의 위치 선정은 배영과 같은 위를 바라보는 경기자뿐만 아니라 수면의 비침에 의한 관갣 및 감시원에 대한 배려도 필요. 일반적으로 풀에는 소독을 위한 염소계 약품을 사용하므로 조명기구에 염소 부식 방지 코팅이 되어 있어야 함.
활주면에서의 균제도가 나쁘면 스키할때 노면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게 되어 대단히 위험하므로 불균일이 없는 철저한 조명계획이 가장 중요. 장애물의 위치를 인지할수 있도록 설계.
Skate
스케이트장
조명계획을 할 때에는 조명기구의 위치나 위도에 유의할 계획이 요구.
사용자에 대한 사항만 고려하면 천장면 또는 조명타워에 조명기구를 분산배치하여 수평면 조도를 확보하는 것이 적절한 조명 설계. TV 촬영 고려시 측면 조명 필요
Fighting
격투장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 확보가 가능한 위치에 조명을 배치.
흥행에 치중된 경기장의 경우 관람석에서의 수평 조도 확보.
경기 레벨에 따른 디밍 기능 추가로 어떠한 수준의 경기도 모두 가능하도록 설계.
This post is also available in:
English